하지만 오일 쇼크 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차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는 당대의 트렌드를 무시하고, 
플랫폼과 파워 트레인의 공유는 현재에도 이루어지지만, 
당시 GM의 차는 브랜드의 엠블럼 외에는 다른 점 하나 찾기 힘들 정도로 
브랜드마다 같은 차를 재탕하고 있었고, 
그룹 내에서 서로 겹치는 모델도 너무 많았다. 
그 결과 캐딜락도 한물 갔다는 인식이 늘어났다. 
대표적인 예로 캐딜락 시마론이 있다.


거기에다 1965년 5세대 캐딜락 엘도라도부터 시작된 볼록한 후드와 
깎아지른 버티컬(Vertical, 수직) 타입 헤드램프, 
위에서 봤을 때 V자 모양의 뾰족한 후드, 
웅장한 멋 등의 고유한 디자인 헤리티지까지 버린 10세대 엘도라도와 스빌 STS, 
카테라의 등장은 명가의 몰락은 시간 문제라는 세간의 평의 명확한 근거가 되었다.

한때 젊은층을 공략한다고 사브 9-3을 기반으로 한 전륜구동 세단인 
캐딜락 BLS라는 차종을 출시했으나, 
처참하게 망해버리면서 캐딜락 시마론 이후로 손꼽히는 GM의 역대급 실책이 되어버렸다.


1999년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다양한 컨셉을 공개하며 과거의 디자인 헤리티지를 세련되게 계승한 
아트 앤 사이언스라는 디자인 랭귀지를 선포하여 
과감한 직선과 후륜구동 특유의 역동성과 우아함을 
2016년 현재까지 세단 라인업에 불어넣고 있으며 
또한 차기 최신 기술들을 적용한 컨셉카와 실차를 선보이고 있는 중이다.


2021년 본고장 미국에서의 캐딜락의 이미지는 예전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위에 서술했듯이 힙합 등으로 벼락부자가 된 흑인들이 캐딜락을 몰고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타고 다니는 형태가 많아 
졸부들이 타고 다니는 차라는 이미지가 일부 형성됐다. 
자신의 부를 지나치게 과시한다는 이미지로 인해 백인 중산층의 경우 
캐딜락보다는 GMC 차량을 더 선호한다. 
동부 지역에서는 벤츠, 아우디, BMW, 렉서스가 흔하게 보이는 만큼 
링컨과 캐딜락도 굉장히 흔하다.

Posted by 그대옆에

대한민국에서는 공식적으로 후원받는 할리 오너 그룹, 
즉 호그 등을 중심으로 한 할리데이비슨의 문화적 형태가 주로 각인되어 있는 편이고, 
외국에서도 그 호그 커뮤니티는 많이 퍼져 있긴 하다.


이 경우 모터사이클 클럽이라고 해서 별도로 지역별로 성향별로 서로끼리 문화를 형성하는 예가 많다. 
한국 HOG클럽만 봐도 그 지역 딜러쉽을 기준으로 다양한 클럽이 존재한다. 
그리고 개중에는 무정부주의자의 자식들처럼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모터사이클 갱단도 그 "클럽"이라고 하기 때문에 좀 구분이 필요한 경우이긴 하다.

허나 할리의 경우는 주로 보수적인 미국인들의 성향성을 대변하는 바이기도 해서, 
다른 바이크 그룹에 비해서 배타적인 성향이 강한 것도 사실이다. 
즉, 끼리끼리 문화가 심각하게 발전해 있는 경우라서 다른 그룹들과 대비하면 
그들만의 리그의 성격이 강하다. 
실상적으로 그 모터사이클 갱단이 다른 갱단과 구분되는 특성이 이런 것이기도 하지만, 
굳이 말하면 이 바이커 갱은 할리만의 문제는 아니다.


허나 할리를 탄다고 하고 같은 클럽임을 말해도 정상적인 클럽과 갱단은 
행동의 차이가 있기 마련이니, 
할리를 타는 바이커를 봤다고 무조건 떨 이유는 없다고 하면 될 듯. 
다만 문신한 애들이 클럽마크 붙인 조끼를 입고 와르르 몰려 다니면 그건 정말 조심해야 할 상황이다.

일단 시끄럽다. 
대배기량 바이크가 기본적으로 시끄러운 건 사실 어쩔 수 없긴 하지만
그 특유의 마초적인 이미지로 인해 할리를 타면서 간지를 과시하는 라이더들은 
대개 엄청난 크기의 배기음을 내며 달리거나, 
시시때때로 후까시를 잡기 마련이다. 
이러한 행위들은 일반인들에게 불쾌감을 안겨줄 수 있으며, 
사우스 파크에서도 여지없이 까였다. 
사우스 파크에서는 '할리 데이비슨을 타며 소음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잉여들'을 
'fag'이라고 부르며 대차게 깠다.


익히 알려진대로 미국 대중 문화, 사회에서 마초성, 남성성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지만, 
남들 앞에서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미국적 마초 문화의 정점인 할리는 
한편에선 열광적인 팬덤이 있는 만큼 그 팬덤 밖에서는 조롱 받을 가능성도 크다. 
특히 상술한 대로 미국도 세계적 경제 위기 이후 살기 팍팍해져가고, 
이에 따라 유년층 사이에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마초문화와 거리를 두려는 성향이 강한데다 
할리와 커스터마이징 자체가 대학 등록금 내느라 
20대 초중반에 빚이 이미 다섯자리, 여섯자리에 있는 유년층의 일반적인 주머니 사정과 너무나 멀어서 
젊은 사람이 타기엔 경제적, 사회적 부담이 가는게 사실이다.

Posted by 그대옆에

경차중고 추천도 많아진 시대


저렴한 가격과 쉬운 운전난이도로 인해 초보운전자가 타기에 가장 적합한 차지만,
위의 이유로 초보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은 차이기도 하다.

 

원래 이렇게 경차 깔보는 곳은 한국 뿐이 아닌데,
미국을 필두로 한 캐나다나 호주 등 영어권이며 땅이 넓은 곳에서는
개인 수준에서 큰 차 또는 중형차 이상의 차를 중시하기 때문에
소형차나 경차 이용자를 많이 깔본다.
그래서 미국에선 소형차 이용자를 Weenie(겁쟁이)라고도 부를 정도.

경차 여자 운전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물론 경차는 이미 많이 보급되어 더 이상 초보/여성 운전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멘탈적인 면이든 운전실력이든 자신이 있다면 다른 운전자들을 신경쓰기보다는
본인의 의지대로 선택하면 된다.

 

그나마 2000년대 후반 들어서 인식 개선이 어느 정도 되어서인지,
경차의 법적 차체 사이즈 제한이 커지고 배기량이 1000cc로 상향되면서
기아 모닝이 법적으로 경차로 편입되던 2008년경부터
기아 모닝의 인기가 대폭 상승해 경차가 대략 신차 수요의 15~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고차 시장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품목이라고 한다.
특히 감가상각률의 측면에서는 가장 가격이 안 떨어지는 것이 경차다.

경차 여자 운전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2010년대에 들어서는 경차선호사상이 많이 생겼다.
유가의 급상승과 더불어 한국 경제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연비도 좋고 세금도 덜 나가는 경차를 선호하게 된 것.
딱 10년 전만 해도 '에이, 남자가 무슨 경차냐?'하는 시각이 많이 남았었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적어도 대놓고 이런 소릴 하는 사람은 많이 줄어들었다. 





이는 2010년대 중반 들어 국제유가가 급락해서
국내 실사용자의 체감유가도 조금씩 낮아지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대한민국의 차량 보급이 일본이나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경차 부진의 원인이다.
한국의 차량 보급은 대체로 가구당 1대를 조금 넘는 정도이기 때문에,
주로 독신자나 세컨드 카에 걸맞는 경차가 적은 건 자연스러운 귀결이기도 하다.

경차 여자 운전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중형차나 대형차에 비해 여성 운전자의 비율이 높다.
경제적인 면도 경제적인 면이겠지만 일단 경차를 보면 귀엽다는 이미지가 팍팍 들어오는 것도
여성 운전자가 많은 원인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겠다.
특히 각종 귀여운 액세서리와 시너지 효과가 대단해 적어도 디자인적인 면으로는
남성에 비해 귀여운 것을 선호하는 성향이 강한 여성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또 운전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일수록 주차나 코너링 등이 쉬운
그리고 긁어도 수리비 적게 나오는 작은 차를 선호하기도 한다.



[링크] 중고경차 자동차보험 저렴한곳, 다이렉트자차보험






Posted by 그대옆에